목차
애플 주가가 3일 연속 13% 급등하며 시가총액 3조 4천억 달러를 돌파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면제 기대감과 1000억 달러 추가 미국 투자 계획이 상승 랠리의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2025년 애플 시가총액 4조 달러 달성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나스닥 사상 최고치 경신과 함께 애플이 주도하는 상승 랠리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주목된다.
애플 주가 급등의 배경: 정치적 변화와 전략적 대응
지난 8일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벌어진 놀라운 광경을 목격했다. 애플 주가가 전날 대비 4.24% 급등하며 229.35달러에 마감한 것이다. 이는 지난 3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한 동안 움직이지 않던 애플의 주가상승은 경험상 매우 의미 있는 움직임이었다.
1. 트럼프 관세 정책의 변화 신호
가장 주목할 점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변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월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이 미국에서 제조되기를 바란다"며 "그렇지 않으면 최소 25%의 관세를 내야 할 것"이라고 강경하게 발언했었다. 하지만 최근 애플의 적극적인 미국 투자 계획 발표 이후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
2. 1000억 달러 미국 투자의 전략적 의미
애플이 지난 6일 발표한 향후 4년간 미국 제조업 투자 1000억 달러 확대 계획은 단순한 투자가 아니다. 총 6000억 달러에 달하는 이 투자는 트럼프 행정부의 제조업 리쇼어링 정책과 완벽하게 부합한다. 이는 관세 면제를 위한 전략적 카드로 보인다.
3. 반도체 관세 예외 적용 기대감
트럼프 대통령이 6일 수입 반도체에 100% 관세를 부과하되 미국 내에서 제조하는 기업에는 예외를 둘 것이라고 언급한 것도 애플에게는 호재다. 이는 애플의 핵심 부품인 반도체에 대한 관세 부담을 크게 줄여줄 수 있는 정책이기 때문이다.
시장 데이터로 보는 애플 상승 랠리의 실체
숫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필자가 직접 분석한 최근 애플의 주가 움직임을 살펴보면 그 위력을 실감할 수 있다.
1. 3일 연속 13% 급등의 의미
지난 5일 202.92달러였던 애플 주가가 8일 229.35달러까지 오르며 3일 만에 13% 넘게 상승했다. 이는 애플의 시가총액을 3조 4030억 달러로 끌어올렸으며, 마이크로소프트를 제치고 시가총액 1위 자리를 탈환하는 결과를 낳았다.
2. 나스닥 사상 최고치 견인
애플의 강세는 전체 시장을 끌어올렸다.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07.32포인트(0.98%) 오른 2만 1450.02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했다. S&P 500 지수도 49.45포인트(0.78%) 상승한 6389.45를 기록했다.
3. 기술주 전반의 동반 상승
애플의 상승은 다른 기술주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엔비디아 1.09%, 구글 2.47%, 메타 0.98%, 테슬라 2.30% 상승하는 등 기술주 전반이 동반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애플이 여전히 기술주 섹터의 대표주자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4. 전문가들의 목표주가 상향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예상 주가는 264.97달러로, 현재 주가 대비 32.29% 상승 여력이 있다고 분석되고 있다. 웨드부시 증권의 댄 아이브스는 애플의 시가총액이 2025년 내에 4조 달러에 도달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미래 전망: 애플 상승 랠리는 지속될 것인가
투자자라면 누구나 궁금해할 질문이다. 애플의 이번 상승 랠리가 일시적인 현상일지, 아니면 장기적인 상승 추세의 시작일지 말이다. 필자의 투자 경험과 최신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해 보겠다.
1. 긍정적 요인들
먼저 애플에게 유리한 요인들을 살펴보자. 트럼프 행정부의 제조업 리쇼어링 정책은 애플의 미국 투자 확대와 완벽하게 맞아떨어진다. 특히 반도체 관세 예외 적용 가능성은 애플의 비용 구조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스티븐 마이런의 연준 이사 지명으로 금리 인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어 성장주인 애플에게는 호재로 작용한다.
2. 주의해야 할 리스크들
하지만 모든 것이 장밋빛은 아니다. 중국과의 무역 분쟁이 격화되면 애플의 공급망에 타격을 줄 수 있다. 또한 아이폰 판매 성장률 둔화 우려와 치열해지는 스마트폰 경쟁도 변수다. 무엇보다 현재 주가가 이미 많은 긍정적 요인들을 반영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애플의 AI 전략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에 비해 뒤처지고 있으며 앞으로의 AI 전략의 성패가 관건이다.
3. 전문가들의 장기 전망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기적 전망은 밝다. 스탁스캔은 2030년 말 애플 주가가 410.10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AI 기술 도입과 새로운 제품군 확장, 그리고 서비스 사업의 지속적 성장이 주요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4. 투자 전략 제언
필자의 경험상 이런 급등 국면에서는 단계적 접근이 중요하다. 일시에 큰 자금을 투입하기보다는 분할 매수를 통해 평균 단가를 낮춰가는 전략을 권한다. 또한 단기 변동성에 흔들리지 말고 애플의 본질적 가치와 장기 성장 스토리에 집중해야 한다. 드디어 애플, 상승 랠리 이어지나에 대한 답은 결국 시간이 증명해 줄 것이다.